CS

[네트워크] 라우터 Router (feat. 스위치)

김디니 2023. 1. 1. 15:58

라우터란?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해 주는 장치로써,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종 목적지까지 거쳐야 하는 많은 경로들 중에 통신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패킷에는 여러 레이어(섹션)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레이어는 발신자, 데이터 유형, 크기 등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정보는 대상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이다.

라우터는 이 레이어를 읽고 데이터 우선 순위를 설정한 다음 각 전송에 사용할 최적 라우트를 선택한다.

 


패킷이란?

pack + bucket의 합성어

보내줄 데이터 블록에 행선지를 표시하는 꼬리표와 같다.

즉, 데이터를 보낼 때 특정 형태를 맞춰서 보내는 것이다.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조각이다. 

 

데이터를 조각내서 보내는 이유는,

큰 데이터는 대역폭(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패킷의 흐름을 원활하지 않게 된다. (트래픽이 많아진다.)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므로, 이것이 최단 거리 일수도 있지만, 돌아가는 경로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즉, 라우터(Router)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Route)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종류

Static Routing(정적 라우팅)

  • 관리자가 네트워크에 대한 경로 정보를 직접 지정
  • 관리자에 의한 라우팅 정보만을 참조
    • 라우터 자체 부담이 줄어들고 동적 라우팅보다 빠르고 안정적
  • 네트워크 변화가 빈번하거나 등록할 네트워크 수가 많을 경우 경로 설정을 변경하기 어려움

Dynamic Routing(동적 라우팅)

  • 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
  • 변경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교환
  • Routing table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관리자의 초기 설정만 필요
  • 정적 라우팅보다 메모리를 많이 차지

 

*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키는 목적

라우팅 테이블

IGP(In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

도메인 or AS: 라우터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개의 네트워크 집합
  • 동일 그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  Domain 내부 경로 설정에 관한 프로토콜

EGP(Ex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

  • 다른 그룹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 (외부)

Distance Vector

  • 거리와 방향에 중점
  •  Routing table을 연결된 라우터와 교환하여 생성
  • 홉 수를 기준으로 최적 경로를 결정

Link State Vector 

  • Distance Vector의 단점 보완
  •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DB로 구성
  • SPF(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Routing table을 작성
  • 네트워크 상에서 변화가 있을때만 Routing 정보를 전달
    • Distance Vector보다는 트래픽이 적음
    • 토폴리지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
    • 계층적 구조로 환경설정이 복잡

RIP & IGRP

  • 주기적으로 서로 Routing table을 교환하면서 Routing 정보에 변화가 없는지 관리

 

스위치(switch)

경로가 결정되면 해당 경로로 데이터 패킷을 넘겨주는 것이다.

노드와 노드 간 연결을 중개해주는 역할을 맡는다. (노드와 노드 간 모든 연결을 직접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

라우터
(OSI 계층모델) ▶️ 3계층에서 동작
(기능) ▶️ 수신한 패킷의 정보를 보고 경로를 설정해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 수행
(대역폭) ▶️ 대역폭을 모든 포트들이 공유하는 방식

스위치
(OSI 계층모델) ▶️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
(기능) ▶️ 주로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며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해 해당 프레임을 전송.
               데이터 패킷 내 포함된 주소 정보에 따라 해당 패킷을 출력포트에 빠르게 접속. 
(대역폭) ▶️병렬로 각 포트 마다 전용대역폭 채널을 할당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처리장치 CPU  (0) 2023.01.04
[네트워크] TCP/IP 프로토콜  (0) 2023.01.03
동기와 비동기  (0) 2022.12.30
[네트워크] OSI 7 계층  (2) 2022.12.30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념  (0)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