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디자인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Design Thinking에 대해 배워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Design Thinking이란?
Design Thinking은 정의하기 어려운 문제나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세스로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을 지녔다.
디자인 씽킹은 현재 혼용되어서 사용하고 있어 기업에서는 금기시하는 말이라고 한다...
디자인 씽킹은 디자이너처럼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즉, 고객과 제약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생각, 행동, 문제해결 이 들어가야 디자인 씽킹이다.
Design Thinking 방법론
공감 → 정의 → 아이데이션 → 프로토타입 → 테스트 순으로 진행된다.
1. 공감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사용자에 대해 파악하고 이해하는 단계이며
어떠한 상황인지 구체적으로 알아야한다.
- 인터뷰, 셰도잉, 이해하기
2. 정의
누구인가, 어떠한 니즈가 있는가, Pain Point가 무엇인가를 고려한다.
공감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핵심 문제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 페르소나, role objectives, challenges, pain points
3. 아이데이션
처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낸다.
공감을 정의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단계이다.
- share ideas, all ideas worty, diverge/converge, prioritize
4. 프로토타입
가시적으로 무엇인가를 만들어보고 테스트를 진행한다.
도출된 아이디어 중 최선의 해결책을 찾고 아이디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 mockups, story boards, iterate quickly
5. 테스트
사용자에게 제품을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받으며 제품을 검토해보는 단계이다.
- role play, iterate quickly
린 UX
대고객을 조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디어를 먼저 구현하고 검증한 뒤 결과를 보고 다시 아이디어를 내는 프로세스이다.
가설을 세우고 만들어 보는 개념으로 문제가 정의되어야 하고 해결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아이디어: 문제 기술, 가설 설정, 테스트할 가설 결정
구현: 최소 존속 제품(MVP) 제작,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이다. (요즘은 MDP도 만든다)
검증: 사용자에게 제품을 검증한다.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디자인 스프린트
구글에서 만든 방법론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5일 안에 의사결정을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한다.
이해: 비즈니스의 문제점과 기술 능력, 사용자 니즈를 공유하는 단계
발산: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모으는 단계
결정: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최상의 아이디어를 선별하는 단계
시제품 제작: 사용자에게 제품 검증
평가: 최종 사용자,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이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 및 평가
가치 제안 캔버스
고객이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서 기대할 수 있는 이점들을 요약 기술하는 디자인 방법론으로
가치 제안 캔버스 작성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익과 가치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특정 고객에게 부합하는 실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고객과 프로덕트가 맞지 않을 때 후반 작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혜택 창출 방안, 불만 해소 방안 두 가지의 방법으로 주거나 없애는 방법이 있다.
즉, 고객과 프로덕트와의 매칭 작업인 것이다.
아마존 워킹 백워드 방법론
“고객으로부터 시작하고 거꾸로 일하라”
아마존에서 적용한 UX 디자인 방법론으로 고객중심으로부터 만든다.
- 고객에 적합한 솔루션
- 고객을 깊게 이해하고 공감했을때만 좋은 제품 및 서비스 발굴 가능
- 고객 이해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 제공
- 고객 중심 솔루션으로 친밀성, 로열티 확보
- 고객 관점의 혁신
- 고객 이해를 통한 혁신적인 아이디어 개발
- 보도자료 및 FAQ 작성을 통해 개발 진입 전 고객영향력 및 주요 사용 케이스 확인 가능
- 효율적 솔루션 개발
- 솔루션 개발 후 지속적인 반복과 실행
- Experiment Early & Frequently
- 빠른 반복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 점검 및 수정 → 제품과 서비스 개발 비용
5 key questions
고객 가치 관련 질문
- 고객은 누구인가?
- 고객의 문제 혹은 기회는 무엇인가?
- 무엇이 가장 중요한 고객 혜택인가?
제품 가치 관련 질문
- 고객이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것에 대해 당신을 무엇을 할 것인가?
- 경험은 어떠한 형태 및 모습이 될 것인가?
프로세스
- 고객 이해: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
- 문서 작성: PR(날짜), FAQ(많이 물어볼 질문 정의), Visual(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작성, 제공하려는 제품 서비스가 분명하게 저으이되는지 확인
- 문서 수정: 문서가 고객 관점에 부합하는지 여부 확인, 고객에게 매력적인 제품 및 서비스인지 확인, 문서 수정
1. start with the customer
고객 정의
페르소나를 통해 타깃 고객층을 정하고, 해당 고객의 전형적인 행동 유형을 기술하는 방법이다.
방법
- 고객에 대한 자료 수집
- 한페이지 이내로 인물의 이름, 사진, 인물의 상황, 니즈, 행동 등 고객 저으이에 필요한 주요 사항 정리
- 모두가 볼 수 있도록 페르소나 공유
context는 가급적이면 정량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해야 한다.
추정으로 가는 것이 아닌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empathy map
공감 지도란 타깃층을 정하고 해당 고객의 전형적이 행동 유형을 기술하는 방법이다.
페르소나를 가지고 사용자가 어떠한 감정을 느끼는지 작성하는 것이다.
journey map
여정 단계를 정리한다.
- 여정 단계: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행동을 작성한다.
- 목표: 각 단계에서 사용자의 목표는 무엇인가
- 감정: 각 단계에서 사용자는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 기회 발견: 해결해야 할 문제 또는 아이디어를 작성한다.
'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팀 프로젝트] '아마존 워킹 백워드'를 적용한 팀 프로젝트 (1) | 2023.12.06 |
---|---|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 기획] 피그마의 Auto Layout과 Dev mode (0) | 2023.12.05 |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 기획] 데이터 드리븐 UX (1) | 2023.12.01 |
[UX] 클론 디자인 프로젝트 - CGV 기능 개선 (1) | 2023.11.30 |
[UX] 피그마 컴포넌트 (0) | 2023.11.29 |